취미 썸네일형 리스트형 차사발의 아름다움을 감상하는법 1 ;차사발은 멋이 있어야 한다. 2 ;요변-차사발의 생명과같은 존재 (요변이란 가마에서 타는 장작불로 인한 도자기의 자연발색) 장작가마는 가마내의 기압 습도 장작의 두께,장작의 포개짐등으로인하여 인간이 통제하기 불가능한 변수가상당히 많이 일어남) 3 ;흙맛 도예는 첫번째도 흙,두번째도 흙,세번째는 불이다.차사발은 흙맛을 표현을 위해 유약을 잘 선택. 흙과 유약이 결합하여 마치 유약이 없는듯 하면서흙 자체의 발색이 나타나야 좋은 사발. 4 ;차색-변하지 않는 차사발은 죽은 사발이다 차사발에 깃든 차색의 분위기로 그 찻잔을 사용한사람의 인격까지 느낄수 있다. 차사발을 선택할때는 세월이 흘려 차색이 깃드는 찻잔이 좋은 차사발이다. 5 ;굽-차사발의 숨은 아름다움. 좋은 차사발은 사기장의 깊은 정성이 숨어있다.. 더보기 도자기 성형 방법 도자기 성형의 기초 도자기 성형 과정은 많은 발전을 거듭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행해지고 있다. 도예의 가장 기본적인 성형 방법이며, 가장 오랜 역사를 가진 성형 방법은 코일성형과 물레성형이다. 특히 물레성형은 고도의 숙련 과정을 요구하는 성형 방법이지만, 기본 성형법으로 흙의 성질이나 특성을 파악하기에 가장 좋은 방법이어서 도자기를 하는 사람들은 기본 과정으로 전기물레 성형법을 익히고 있다 성형법의 분류 성형은 손으로 작업하는 것과, 회전력을 이용하는 물레성형(Jiggering), 흙물을 석고형에 부어 넣어 만드는 주입성형(Casting), 기계적 힘을 이용해 압착(Pressing)하거나, 가래떡을 만들 듯 형틀을 통해 밀어 뽑아내는 압출성형(Plastic Forming of Extruding)으로 크게 .. 더보기 제1회 동호회 "토인" 전시회 (아름다운일터) 냉면기, 라면기 위주로 전시를 했습니다. 더보기 도자기 제작 과정 - 사각 주전자 제작 과정 지인의 의뢰를 받아서 사각 주전자를 만들게 되었습니다. 이상하게 의뢰를 받아서 만들게 되면 잘 안되더군요. - -; 사각 주전자는 판을 일정한 두께로 미는 것이 중요하고 접합부분을 잘 붙여야 합닏.ㅏ 그리고 너무 두껍게 만들면 무거워서 못씁니다. 그럼 어떻게 만들었는지 소개해 볼께요. 도안을 먼저 그리고, 흙은 약 6mm 두께로 밀어서 판을 만듭니다. 도안의 전개도 대로 제단을하여 붙여 나갑니다. 손잡이만 빼고 다 붙였습니다. 주전자 손잡이도 다붙였습니다. 이제 기름병만들 차례입니다. 도안대로 오려서 붙이면 됩니다. 사각그릇들과 같이 다 붙여놓은 상태입니다. 그리고 처벌과 재벌구이를 통해서 완성한 모습입니다. 더보기 도자기 제작 과정 - 장미 투각 조명 제작 과정 장미문양 투각 항아리 제작과정입니다. 먼저 원하는 모양의 항아리를 물레로 만듭니다. 도자기를 살짝 건조시켜서 투각을 할 수 있는 상태로 만듭니다. 칼과 드릴로 구멍을 뚫기 시작합니다. 구멍 뚫기가 많이 진행됐죠? 깍다가 전부분이 깨져서 전없는 도자기가 됐습니다. 그리고 소성을 했습니다. 투각 부분을 자세히 봐 봤습니다. 더보기 도자기 제작 과정 - 우산꽃이 만들기 물레 위에서 코일링을 하여 원통을 만들고, 대충 나무가지 모양으로 그림을 그리고 구멍을 뚫기 시작합니다. 구멍을 뚫은 후에는 입체적으로 깍아서 만듭니다. 초벌을 했습니다. 전(윗부분)을 띠 모양으로 만든 이유는 소성 시에 모양이 찌그러지지 않게 지탕하기 위해서입니다. 재벌을 해서 완성된 모습니다. 구멍이 많아서 물기도 쉽게 마르고 좋습니다. 더보기 도자기 제작과정 - 장미문양 백자접시 접시에 소나무를 철 상감으로 넣었습니다. 환원소성을 하면 소나무는 까맣게 나오고, 산화 소성을 하면 빨갛게 나옵니다. 더보기 이전 1 2 3 4 5 6 7 ··· 9 다음